본문 바로가기

Thoughts

(6)
[불교] 37도품三十七道品/37보리분법三十七菩提分法의 분류 및 각 내용 정리 도표 불교에서는 37가지의 깨달음에 이르는 법이라 하여 이를 37도품 혹은 37보리분법이라 합니다. 이는 37가지로 4념처, 4정단, 4신족/4여의족, 5근, 5력, 7각지, 8정도의 7개의 항목 즉 7과七科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도표에 37도품/37보리분법을 정리해놓았습니다. Bodhipakkhiyā dhamma 37도품/37보리분법, 三十七道品/三十七菩提分法 The Thirty-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Cattāro Satipaṭṭhānā, 4념처, 四念處, Four establishments of mindfulness - 신념처, 身念處, Mindfulness of the body - 수념처, 受念處, Mindfulness of feelings - 심념처, 心念處, ..
지난 20년간 급증하여 55.8%가 된 30-34세 남성 미혼율 아니 밖에 나가거나 SNS를 보면 커플이랑 부부들 천지인데 무슨 소리냐고 하신다면, 솔로들은 대부분 자신을 밖에 내보내는 활동을 잘 하지 않아서이지 않겠습니까?^^;; 보건사회연구, 2018;38(4):398-430,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과 이성교제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라는 제목의 연구 자료 및 이를 정리한 기사의 도표입니다. 2015년의 통계청 자료 바탕으로 했기에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으나, 30-34세 남성의 경우 55.8%가, 여성의 경우 37.5%가 미혼입니다. 결혼뿐만 아니라 이성 교제 또한 굉장히 낮아 남성은 30.4%, 여성은 33.2%라고 하는데, 즉 청년의 70% 정도가 이성 교제를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연구의 제목이 제시하듯, 경제적인 여유와 경제적 자립 요인이 이성 교제 ..
학력, 능력, 자본주의가 합쳐져 일그러진 어떤 사회의 모습 *1. 상상입니다. 자본주의라는 체제에서 모든 구성원이 경제 주체로 성장할 기회를 누린다면 그 사회는 꽤나 불안정할 것입니다. 평생 건강이 다할 때까지 경제적 독립을 이루지 못해 노동자의 삶에 머무는 이들을 만들어야겠습니다. 건강이 다한 이들은 복지라는 이름으로 먹고 살 정도의 돈을 쥐어주면 그만입니다. 노동의 가치를 음식/물건 등의 실물 생산의 관점으로 평가하기보다는 얼마나 돈이 되는가로 평가해봅니다. 어떤 직업은 돈을 많이 벌게 하고 어떤 직업은 돈을 적게 벌게 합니다. 오랜 기간의 연습과 많은 양의 교육이 필요한 직종이 돈을 많이 벌어다 주는 직업이 되게 해 봅니다. 그 교육의 내용은 실물 생산과는 아무런 관련 없는 추상적인 내용으로 가득 채웁니다. 교육의 목적과 본질에 대한 토론보다는 교육을 받는..
더닝-크루거 효과: 무엇을 얕게 아는 사람들이 자신이 그것을 정말로 잘 알고 있다고 느끼는 현상 자신만만한 사람들을 믿으면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는 그 자신만만한 모습이 무지와 경험의 부족을 감추기 위한 연기일 수도 있고, 혹은 그 사람이 본인의 경험과 지식이 얕은 줄도 모른 채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후자를 설명하는 학술 용어는 더닝-크루거 효과 Dunning–Kruger effect라고 합니다. 이 현상은 1999년에 코넬 대학교 심리학과의 데이비드 더닝(David Dunning)과 저스틴 크루거(Justin Kruger)의 논문에서[1]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이후 2008년에 출간된 논문은[2]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의 다음과 같은 말로 시작합니다. "One of the painful things about our time is that those who f..
쉼표의 사용법 글쓰기를 체계적으로 배우지 못한 채 (제 마음대로) 글을 쓰는 사람들의 글에서 쉼표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쉼표의 사용이 잦은 타문화권의 언어를 일상 및 직업적인 이유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글에서 더 보이는 것 같다. 사실 여기 바로 내가 쉼표를 과도하게 쓰는 사람인지라 국립 국어원의 자료를 살펴보고 좀 더 배우기로 했다.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56145 Ⅱ. 쉼표[休止符] 1. 반점( , ), 모점( 、)가로 쓰기에는 반점, 세로 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낸다. (1)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쓴다. 예: 근면, ..
너드nerd의 세 가지 요소: 지능, 사회성 부족, 강박 [+ 너드와 긱 구분하기] 인터넷 서핑하다가 발견한 너드의 3요소 강박, 지능, 사회성 부족. 도표에 따르면 너드와 긱의 차이는 사회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타고나기를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환경/상황의 이유로 사람들과 어울릴 여건이 안 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내재적 혹은 외재적 이유로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지만, 똑똑하고, 자기가 하는 일 혹은 관심사에 대해서는 강박적으로 집요하게 파고드는 이들이 너드라 할 수 있겠다. 너드와 긱의 차이는 돈인 것 같다. 돈이 되는 일에 관심과 정보를 모으는 긱과 돈이 안 되는 것에 관심을 쏟고 관련 정보를 모으는 너드. 여러 비교 도표들을 보면, 대충 어떤 사람인지 느낌이 온다. IT 관련 벤처 기업을 다니는, 조금 유별난 사람이 긱, 대학원생/박사 ..